When I was a child, we lived near the border to North Korea. The infrastructure wasn’t great. Laundry needed to be done in the river. In winter, ice needed to be broken, to obtain water. At home, we had lots of books against communism. On the street, often we found small papers from North Korea, and propaganda was written. I learned not to trust things unless proven mathematically.

Als ich ein kleines Kind war, wohnte meine Familie in der Nähe von Nordkorea. Wir lebten in der Nähe der entmilitarisierten Zone. Die Natur war wunderschön. Es gabt keine Waschmaschine zu Hause. Man muss Wasser vom Fluss abholen, um die Wäsche zu machen. Damals befand sich die Welt im Kalten Krieg. Zu Hause hatten wir viele Bücher gegen Kommunismus. Auf dem Strasse, fände ich oft kleine Zettel voll der Propaganda von Nordkorea. Ich habe entschieden, nur Mathe zu glauben.

어릴 때 우리는 남북 휴전선 근처, 고로 비무장지대 근처에 살았다. 자연환경은 무척 깨끗했을 것이다. 내가 태어났을 때, 중학생이던 이모가 엄마를 돕기 위해 우리집에서 지내셨고, 내 천기저귀를 직접 손빨래 하셨다고 들었다. 집에 수도시설이 잘 되어 있지 않았는지, 강에서 얼음을 깨서 얻은 물로 빨래를 하셨다고 한다. 집에는 반공서적이 가득했다. 공산당이 싫어요, 라는 제목으로 이승복 어린이에 대해 쓴 책들. 그리고 얼마나 공산당이 나쁜지에 대한 만화들도 많았다. 그런데, 북한 국경 근처에 살다보니, 가끔 북한에서 날아온 삐라를 길에서 줍기도 했던 것 같다. 거기에는 남한 정부가 얼마나 나쁜지 써 있었다. 그리고 땅굴이나 간첩을 신고하면 상금을 많이 받을 수 있다고 여기 저기 벽보가 붙어 있었는데, 특히 간첩선을 찾으면 상금이 아주 컸다. 어릴 때부터 나는 종이에 적혀 있는 것을 무조건 믿을 수는 없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왜냐하면 집에 있는 반공서적과 길가에 떨어진 삐라 사이에 엄청난 간극이 있었기 때문에. 그래서 나는 수학을 믿게 되었다. 숫자는 거짓말을 하지 않으니까. 답이 하나로 똑 떨어지니까.